반응형
현훈증의 증상
여러 가지 어지러움의 유형이 있습니다. 현훈증,현기증,어지럼증은 서로 섞어서 사용됩니다.
어지럼증은 신체기관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주로 고유감각 수용체(척추, 목, 발), 소뇌 또는 전정기관이 유기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경우 생깁니다.
위험한 어지럼증과 위험하지 않는 어지럼증으로 구별되어 집니다.
현훈증은 이석증,전정신경염,메니에르 증후군 등 겪게 되면 많이 힘들지만 위험하지 않은 종류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세반고리관(귀)에서 문제가 생겨 어지럼증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증상을 현훈증이라고 부릅니다.
현훈증의 치료법
이런 현훈증의 치료법에는 이빈후과에 가서 진단을 받고 치료를 하는 방법이 있고 몸 관리를 하셔야 합니다.
보통 몸이 너무 피곤하거나 수분이 너무 부족하거나 경추가 안좋아서 생깁니다.
그 외에도 불면증과 우울증이 심해서 어지럼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충분한 휴식과 수분(영양분) 섭취를 하고 피로를 풀어주셔야 합니다.
현훈증 원인
- 현기증은 자율신경계의 문제가 생겨서 혈액순환이 안되어서 생기는 어지럼증입니다.
- 혈압약이나 자율신경계 약물의 부작용으로 현기증이 날 수 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병원에서 처방하는 약을 의사와 상담을 해서 조절을 해야 합니다.
- 고유감각 수용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당뇨가 있으신분들 중 합병증 중 하나로 말초신경염으로 인해 구름 위를 걷는 듯한 느낌이 들고 제대로 걷는지 알 수 없고 어지러울 수 있습니다.
- 경추성 어지럼증에는 목의 자세가 너무 안좋으면 눈도 뻑뻑하고 피로하며 머리 쪽도 어지러움을 느끼게 됩니다. 두피 근막이 긴장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어지러움을 느끼기 때문에 목자세를 똑바로 하고 자주 스트레칭을 하셔야 합니다.
- 소뇌와 뇌간의 문제가 있는 경우 특히 뇌졸증의 전조 증세로 느끼는 어지럼증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바로 병원에 가셔야 하는 어지럼증입니다. 두통과 함께 팔등이 저리고 힘이 빠진다면 뇌졸증 전조증세일 수 있기 때문에 바로 병원에 가야 하는 증상입니다.
- 목이 안좋을 때 소뇌의 좌우 불균형으로 인한 어지럼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목을 치료하며 기능의 균형을 맞추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어지럼증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고 이비인후과,내과,신경과,정신과 전문의들의 협의 하에 진찰과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이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 가서 전문의에게 정확하게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건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가려움증의 원인 - 피부붉은 반점, 얼굴이 가려운 이유는? (0) | 2022.02.02 |
---|---|
이석증 증상 원인 치료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2.02.01 |
우울증 테스트 - 산전 산후 우울증 어떤 어려움이 있을까요? (0) | 2022.01.31 |
알츠하이머치매 초기증상 - 혹시 치매일까? (0) | 2022.01.31 |
파키슨병은 치매와 무엇이 다른지 알고 계세요? (0) | 2022.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