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 정의
안녕하세요. 전세계인구의 30퍼센트 이상은 겪어봤다는 불면증에 대해 조사해보았습니다.
불면증의 증상은 사람들이 자야 될 시간에 잠을 못자서 활동시간에 졸리고 피로해서 커피를 너무 많이 마시게 되고 그러면 또 밤에 잠이 잘안오고 이런 생활이 반복되는 경우를 얘기합니다. 즉 낮과 밤이 바뀌는 현상입니다. 그러한 현상이 일주일에 최소 세번 그리고 세달이상 반복될 경우는 고통을 호소하게 됩니다.
불면증의 원인
불면증의 원인은 코티졸이라는 호르몬이 아침에 많이 분비가 되어 잠이 확깨고 활동이 시작되고 밤에는 멜라토닌이 분비가 되어야 잠이 잘옵니다. 그런데 화를 많이 내면 코티졸이 분비가 되고 밤에도 그 호르몬 분비가 많이 되면 잠이 안올 수 있습니다. 즉, 스트레스가 너무 많은 경우 잠이 안옵니다.
그리고 멜라토닌이 분비가 잘 안되는 경우는 요새 모든 사람들이 즐겨보는 스마트폰, 태블릿pc등 인공 조명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가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 합니다. 그러면 멜라토닌 분비가 줄어들고 뇌가 낮이라고 착각을 하게 되어서 잠이 잘 오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불면증이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그래서 치매환자들 중에는 불면증을 앓고 있는 경우도 많다고 해요.
뇌는 쉴때는 푹쉬어야 해서 질 좋은 적절한 수면을 취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잠이 안올때 해결방법
그러면 해결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형광등보다는 밤에 백열등을 쓰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블루라이트가 덜 나온다고 해요.
그리고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을 저녁에라도 끼고 스마트폰이나 PC를 보는게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가급적 잠들기 1시간전에는 전자기기를 보지 않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코티졸이 분비를 줄이기 위해 화를 덜내려고 노력해야합니다. 불평보단 감사하며 긍정적인 말을 자주 해야합니다. 스트레스를 덜받는게 불면증 뿐 아니라 건강에 좋겠죠?
다른 질병류인 갑상선 항진증이나 우울증 등이 있어서 잠이 안오는 것이라면 그 병에 대한 치료를 받아야합니다.
술을 먹고 자는건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 수 가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좋지 않습니다.
병원가서 의사선생님의 처방대로 수면제를 처방받고 복용을 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잠이 너무 안오면 자려고 스트레스 받지 말고 그냥 일어나서 책을 읽거나 다른 것을 하면서 그날 하루를 잠을 자지 않고 밤에 잠을 자서 규칙적으로 생활을 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에 방법
이건 제가 쓰는 방법인데 밤에 목욕을 하는 것입니다. 아니면 따뜻한 물을 받아서 족욕을 하면 피로가 풀리고 몸이 노곤해져서 잠이 옵니다.
그리고 발열수면안대도 숙면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자기 전에 따뜻한 차를 마시는 것도 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불면증에 힘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통이 지속되는 증상 - 머리가찌릿찌릿아파요. (0) | 2022.01.02 |
---|---|
공황장애 증상은 무엇인가요? (0) | 2022.01.01 |
가스라이팅 뜻 예시 대처 (0) | 2021.12.31 |
심근경색 전조증상 (0) | 2021.12.07 |
코로나 오미크론 증상 (0) | 2021.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