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발가락 통증과 발등 저림의 원인, 장무지신근 건염과 스트레칭 방법을 해부학 정보와 함께 정리. 전경골근, 장무지굴근과의 차이도 비교!
"엄지발가락이 찌릿하고 당기세요?"
걷거나 뛸 때 발등 또는 엄지발가락이 저릿하거나 욱신거린 적이 있다면, 한 번쯤 "장무지신근(긴 엄지폄근)"이라는 근육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어요. 이 근육은 종아리 앞쪽에서 시작해 엄지발가락 끝까지 이어지는 얇고 긴 근육으로, 발등을 들고 엄지를 펴는 역할을 해요.
무시하고 방치할 경우 건염, 염좌, 만성 통증으로 진행될 수 있고, 발목 움직임에도 제한이 생길 수 있어요.
📍 장무지신근의 해부학적 위치와 기능
- 기시(origin): 비골의 중간부 전면(종아리 앞쪽 중앙면/middle part of the fibula, anterior surface) 및 골간막(interosseous membrane)
- 정지(insertion): 엄지발가락 끝마디뼈(distal phalanx of the great toe)
- 작용(action):
- 엄지발가락 펴기 (extension of the big toe)
- 발등 들기 (dorsiflexion of the foot)
- 보행 시 발 끌림 방지
- 경미한 외반 작용 (assists in foot eversion to a small degree)
🔄 전경골근과의 차이점?
- 전경골근은 발 전체를 위로 들게 해주는 주작용근.
- 장무지신근은 전경골근보다 더 깊숙이 위치하며, 엄지발가락을 정교하게 조절함.
이 둘은 함께 작용해 우리가 자연스럽게 걷고 뛸 수 있게 도와줘요!
🔥 장무지신근 통증 & 건염 원인
✅ 주된 원인
- 과사용: 러닝, 하이힐 습관, 오래 걷기 등
- 외상: 발등을 부딪히거나, 엄지를 과하게 꺾었을 때
- 부정렬 자세: 골반이나 무릎이 틀어져 하체 전체에 무리 발생
- 근육 피로 누적: 특히 러너, 축구 선수, 무용가에게 흔함
💢 증상
- 엄지 위 또는 발등 중앙이 욱신거림
- 발을 들거나 엄지를 펼 때 통증
- 걸을 때 엄지 주변이 당기고 뻐근함
- 힘줄 부위를 눌렀을 때 찌릿한 통증
🧠 건(tendon)과의 관계
장무지신근의 힘줄은 얇고 길기 때문에, 반복적인 움직임에 특히 민감해요. 따라서 건염(tendinitis)이 잘 생길 수 있어요. 발등 쪽에서 "타는 듯한 느낌"이나 "쑤시는 듯한 통증"이 있다면 건 부위의 염증을 의심할 수 있어요.
🧘♀️ 스트레칭 & 관리법
1-1. 발등 누르기 스트레칭
- 바닥에 앉아 무릎을 구부리고 발등을 천천히 바닥 쪽으로 밀어줌
- 15초 유지 × 3세트

1-2. 엄지 뒤로 젖히기 스트레칭
- 손으로 엄지를 잡고 천천히 뒤로 젖힘
- 발등과 발바닥 전체가 시원하게 늘어나는 느낌
- 15초 유지 × 3회 반복
🔸 포인트: ‘살짝 당긴다’는 느낌으로, 아프면 멈춰요
🔸 효과: 장무지신근과 굴근의 긴장 완화, 근육 손상 예방
⚠️ 주의: 근육이 차가운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하면 오히려 통증 유발 가능. 가볍게 워밍업 후 진행하세요
운동 (🏋️♀️ 근력 향상 및 기능 회복용)

2-1. 수건 당기기 운동
- 바닥에 얇은 수건을 펴고, 발가락(특히 엄지)으로 끌어당기기
- 10-15회 x 2-3세트

2-2. 세라밴드 저항 운동
- 탄력 밴드를 발등에 걸고, 밴드를 고정하거나 손으로 잡은 뒤 발등을 위로 들어 올림
- 천천히 버티며 원위치
- 15회 × 2~3세트
🔸 포인트: 운동 중에도 발가락을 ‘의식적으로’ 움직이세요
🔸 효과: 근육 강화를 통한 재활, 통증 감소, 발의 기능 회복
⚠️ 주의: 무리한 반복보다 정확한 자세와 속도가 중요합니다. 천천히, 꾸준히가 핵심!
✅ 요약
항목 | 효과 | 시간 및 횟수 | 주의할점 |
마사지 | 근육 이완, 혈류 촉진 | 하루 5~10분 | 세게 누르지 않기 |
스트레칭 | 유연성 증가, 긴장 완화 | 15초 유지 × 3세트 | 근육 워밍업 후 실시 |
운동 | 근력 강화, 통증 예방 | 2~3세트 반복 | 무리한 반복보단 천천히 정확히 |
장무지신근🆚 장무지굴근
구분 | 장무지신근 | 장무지굴근 |
위치 | 종아리 앞쪽 → 발등 → 엄지 위 | 종아리 뒤쪽 → 발목 안쪽 → 발바닥 → 엄지 아래 |
기능 | 엄지 들어올리기, 발등 들기 | 엄지 굽히기, 착지 시 충격 흡수, 추진력 제공 |
작용 | 걷기 시 발 끌림 방지 | 점프, 달리기 등에서 추진력 강화 |
포인트: 장무지신근은 발을 위로, 굴근은 아래로 당기는 ‘반대 작용’을 하며, 서로 균형을 맞춰 보행과 운동 시 안정성을 제공해요.
⚠️ 주의사항 & 병원 진료 시점
- 마사지와 스트레칭은 초기 통증에는 효과적이지만, 1주일 이상 통증 지속되면 정형외과 또는 물리치료 진료 필요
- 통증 부위가 붓거나, 걸을 때 심한 저림이 동반된다면 건 손상이나 파열 가능성도 있음
📝 마무리 요약 정리
구분 | 내용 |
✅ 주요 근육 | 장무지신근 (Extensor Hallucis Longus) |
💢 통증 원인 | 과사용, 부정렬 자세, 외상, 건염 |
🔧 관리법 | 스트레칭, 마사지, 수건 당기기, 밴드 저항 운동 |
🧠 비교 | 전경골근 = 발등 전체 / 장무지신근 = 엄지 중심 |
🧩 굴근과 신근의 차이 | 굽힘 vs 폄 / 착지 vs 끌어올리기 |
⚠️ 주의 | 1주 이상 통증 시 병원 진료 필수 |
장무지신근은 작지만, 걷기와 균형 유지에 있어 핵심적인 근육이에요. 러닝, 하이힐, 무용, 축구처럼 발을 많이 쓰는 분들은 반드시 주기적인 스트레칭과 근육 관리 루틴을 생활화해 보세요! 👣
'건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무지굴근 통증 완화와 관리법] 긴 엄지발가락 굽힘근 스트레칭, 마사지, 건염, 건초염까지 총정리 (1) | 2025.06.12 |
---|---|
앞정강근(전경골근) 통증부터 스트레칭까지 완벽 가이드 (2) | 2025.06.11 |
발등부터 종아리까지 찌릿?장지신근(긴발가락편금) 통증 원인부터 마사지·스트레칭 하는 법 (2) | 2025.06.09 |
제3비골근(Peroneus Tertius): 통증, 건염, 강화 운동, 마사지까지 한눈에 정리! (1) | 2025.06.06 |
단비골근(짧은 종아리근) 통증과 관리법|기시정지부터 건염, 마사지, 스트레칭까지! (4) | 2025.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