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공부

상후거근(Serratus Posterior Superior) 완전 정리|위치, 기능, 하후거근과 차이 및 올바른 이해

by Olive우유 2025. 7. 2.
반응형

상후거근 통증 원인과 스트레칭 및 운동법! 하후거근·능형근과 비교하며 자세한 해부학 정보와 셀프 관리법을 소개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상후거근”이라고 할 때 ‘목 옆이 뭉쳤다’는 식으로 표현하지만, 해부학적으로 상후거근(Serratus Posterior Superior)은 그런 통증 유발 근육이 아닙니다. 이 근육은 호흡 보조근이며, 깊은 층에 위치해 마사지나 스트레칭의 대상이 아니에요. 오늘은 이 진짜 ‘상후거근’에 대해 정확히 짚어보려 합니다.


🔍 본론

1. 📌 상후거근의 위치와 기능

  • 기시: 항인대의 미무, 제7 경추 극돌기-제2 흉추 극돌기, 극상인대
  • 정지: 늑골의 두개연
  • 기능: 늑골을 위로 들어 올려 흉강의 부피를 증가시킴
    → 즉, 들이쉬는(흡기) 보조근육으로 작용함
    (갈비뼈를 위로 들어올려 폐가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줌)
  • 관련근육 및 정확한 위치:
  • 승모근 상부 아래,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아래에 위치
  • 등 위쪽에서 승모근, 견갑거근과 겹치는 층에 있음
  • 피부 아래에서 바로 만져지는 근육은 아니다.

2. 😖 통증 양상 (Trigger Point & 방사통)

❗ 결론부터 말하면, 상후거근은 일반적인 TP(통증 유발점)의 대상이 아닙니다.

  • Serratus Posterior Superior는 깊은 호흡근으로, 자극 시 통증이 생기기보다는
    호흡 곤란 또는 기능적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 Trigger Point, 방사통, 귀 뒤 통증과 같은 설명은 **견갑거근(Levator scapulae)**에 해당되는 이야기이며,
    상후거근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3. ⚖️ 하후거근・능형근과 비교

근육명 위치 기능 통증
상후거근 C7–T2 극돌기  → 제2~5번 늑골 상연 늑골 상승 → 흡기 보조 호흡 보조근, 등 상부 깊은층
하후거근 T11–T12 → 제9~12번 늑골 하연 늑골 하강 → 호기 보조 하부 늑골 안정화
능형근(소+대) C7–T5 극돌기 → 견갑골 내측연 견갑골 내전, 후방 회전 어깨 안정화 + 견갑골 정렬

 

  • 상후거근은 호흡근,
  • 하후거근은 날숨 보조근,
  • 능형근은 견갑골 운동근으로서 완전히 다르게 작용합니다.

 

 

4. 💪 운동 & 스트레칭 방법 불필요

  • Serratus Posterior Superior는 깊은 근육으로, 물리적으로 자극하기 어려우며
    스트레칭으로 기능을 개선하거나 통증을 해결할 수 있는 근육이 아닙니다.
  • 흡기 시 기능적 협조근으로 작용하므로, 호흡 훈련, 자세 교정, 흉곽 확장 운동이 간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 이 근육은 운동・스트레칭・마사지 대상이 아닙니다.

📌 요약

항목내용 요약
기시/정지 C7-T2 → 늑골2-5
기능 늑골 상승 → 흡기 보조
비교 하후거근(호기), 능형근(견갑골 회전)과 구분됨
운동/스트레칭 X (해당 없음)
특징 깊은 층 호흡근, 통증/TP 없음
 

✅ 결론

상후거근(Serratus Posterior Superior)은 일반적으로 통증이나 스트레칭 대상이 되는 근육이 아니며,
호흡 시 늑골을 끌어올리는 보조 역할을 하는 기능성 호흡근입니다.


단순한 목/어깨 통증과 연결 짓기보다는, 호흡 기능, 자세, 흉곽 유연성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정확하고 효과적인 해부학적 이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