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공부

광배근 위치부터 기능까지! 통증, 방사통, 근육통 원인 총정리

by Olive우유 2025. 4. 22.
반응형

광배근

 

 

🧭 광배근 위치, 어디에 있을까?

광배근(Latissimus Dorsi)은 등의 양쪽 아래쪽에 위치한 넓고 평평한 근육으로, 인체에서 가장 큰 근육 중 하나입니다.
팔을 몸 쪽으로 끌어당기거나,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할 때 중심 역할을 하며, 운동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매우 중요한 근육이죠.

🔍 광배근의 위치 요약

  • 위치: 등 아래쪽, 허리 부위에서 시작되어 겨드랑이 안쪽, 팔 윗부분까지 연결
  • 형태: 넓게 퍼진 부채꼴 모양
  • 기능적 역할: 팔을 몸 쪽으로 당기고, 뒤로 젖히며, 회전시키는 동작에 관여

🧬 광배근(Latissimus Dorsi) 기능

광배근은 생각보다 다양한 움직임에 관여합니다. 단순히 ‘등 근육’이라고만 알고 있었던 사람들도, 그 기능을 알면 놀라게 되죠.

  • 팔을 아래로 끌어당기기 (랫풀다운, 철봉)
  • 팔을 뒤로 보내기 (팔 젖히기, 백스윙)
  • 팔을 안으로 회전시키기 (내회전)
  • 허리 안정화 및 자세 유지
  • 깊은 호흡 시 흉곽을 도와주는 보조 역할

운동하는 분들에게는 광배근 운동이 곧 등라인을 예쁘게 만들고, 팔과 몸통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는 핵심이라는 걸 꼭 기억하세요.

 

 

🧭 광배근(Latissimus Dorsi) 위치와 섬유 방향

근육은 두 지점을 연결하며 수축할 때 한쪽을 다른 쪽으로 끌어당기기 때문에, 섬유가 뻗은 방향 = 움직임의 방향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근육의 섬유 방향을 보면, 그 근육이 어떤 동작을 할지 예측할 수 있어요.

🧭 광배근 섬유 방향

광배근(Latissimus Dorsi)의 섬유는 등 아래쪽에서 겨드랑이(상완골) 쪽으로 대각선으로 뻗어 있습니다. 즉, 섬유가 아래 → 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배열되어 있죠.

이 방향을 보면 광배근이 수축할 때 팔을 아래로 끌어당기고, 뒤로 젖히며, 안으로 돌리는 동작이 일어난다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 광배근 영어로는?

  • 학명: Latissimus Dorsi
  • 약칭: Lats (헬스장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

헬스장에서 "Lats 운동"이라고 하면, 광배근을 집중적으로 운동하는 것을 의미해요. 예를 들어, Lat Pulldown, Cable Lat Row 같은 운동이 이에 해당합니다.

 

운동 루틴을 영어로 검색할 때도 "Latissimus Dorsi workout" 혹은 "Best Lats workout" 이렇게 검색하면 더 많은 자료를 찾을 수 있어요.


🤕 광배근 통증, 왜 생기는 걸까?

광배근 통증은 일반적인 근육통부터, 심한 경우에는 방사통이나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갑작스러운 운동 강도 증가
  • 무리한 풀동작 (랫풀다운, 턱걸이)
  • 잘못된 자세로 오랫동안 앉아 있는 경우
  • 장시간 타이핑이나 스마트폰 사용
  • 수면 시 어깨가 눌리거나 비틀리는 자세

광배근은 생각보다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근육이라, 스트레칭이나 이완 없이 방치하면 쉽게 통증이 나타날 수 있어요.


📡 광배근 방사통, 팔까지 저릴 수 있다?

광배근 통증이 단순히 등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겨드랑이 → 팔 안쪽 → 손목까지 퍼지는 통증으로 확장되면, 이는 방사통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방사통이란?

근육이나 신경계가 자극을 받아, 통증이 다른 부위까지 ‘방사’되는 현상이에요.

광배근이 긴장되거나 염증이 생기면, 연결된 부위인 겨드랑이, 팔 안쪽, 심지어는 손가락까지 저릿하거나 당기는 느낌이 들 수 있어요.
이런 경우는 단순 마사지보다 이완 운동과 스트레칭을 병행하는 게 중요합니다.


😣 광배근 근육통 vs 부상, 구별법은?

구분근육통부상/염좌

 

구분 근육통 부상/염좌
발생 시점 운동 후 12~48시간 운동 중 또는 직후
통증 양상 묵직하고 뻐근함 찌릿하거나 날카로운 통증
움직임 제한 거의 없음 팔, 어깨 움직임 제한될 수 있음
회복 기간 2~5일 내 호전 1~3주 이상 지속 가능

운동 후 광배근이 ‘빡’ 당기거나 묵직한 경우는 자연스러운 근육통이지만,
팔을 들어올릴 수 없거나, 통증이 날카롭고 지속될 경우 손상 가능성이 있으니 운동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광배근 손상 시 나타나는 증상

  • 팔을 들어올릴 때 날카로운 통증
  • 허리부터 겨드랑이 라인까지 뻐근함
  • 등쪽으로 누울 때 통증
  • 깊은 숨을 쉬면 등통증이 느껴짐
  • 팔 움직임이 제한됨

특히, 랫풀다운이나 데드리프트 같은 고중량 운동 시
워밍업 없이 무리하게 진행하거나, 자세가 무너지면 광배근이 쉽게 손상될 수 있어요.


✅ 마무리 요약

  • 광배근은 등 아래쪽에서 겨드랑이까지 이어지는 대형 근육
  • 팔을 끌어당기고, 회전하고, 등라인을 만드는 핵심 역할
  • 통증이 발생하면 방사통이나 손상을 의심해야 함
  • 스트레칭과 마사지는 필수!
  • 영어로는 Latissimus Dorsi, Lats라고 부른다

 

다음 글에서는 🔥 광배근 운동법과 체형 불균형 교정, 골프와의 관계까지 자세히 소개할게요.
[2편] 광배근 운동 완전 정복도 기대해주세요!

반응형

댓글